2025.03.05 (수)
서울 7℃
금리 인하
한은 금통위 금리 0.25%p '인하'…"성장률 크게 낮아질 것"
한국은행은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과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에 수출 증가세가 예상보다 낮을 것으로 판단하며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우려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2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 3.0%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한은은 지난해 10월 4년 5개월
기준금리 2%대로…강남·한강변 부동산 강세 이어질 듯
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3.0%에서 0.25%포인트(p) 낮춘 2.75%로 결정했다. 2%대 기준금리는 2020년 10월 이후 2년4개월 만이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인하로 이자 부담이 일부 줄어들어 대기 수요가 풍부한 서울 강남 지역과 한강변 단지의 가격 강세가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오전 기준금리
한은 기준금리 인하에…이복현 "대출금리 파급 효과 분석"
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가운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기준금리 인하가 대출금리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면밀하게 살피겠다고 말했다. 최근 기준금리가 여러 차례 인하됐음에도 여전히 은행들이 가산금리 등으로 높은 대출금리를 받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서다. 이 원장은 이날 오전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
기준금리 2.75%로 인하했지만…"시중금리 하락폭 제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인하했지만, 시중금리 하락폭은 제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5일 하나금융연구소의 하나금융포커스 보고서에 따르면 시중금리는 추가 기준금리 인하 시점 이연 가능성과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등으로 낙폭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됐다. 김완중 하나금융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증권가 "한은 5월 또는 3분기 추가 금리 인하 예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5일 기준금리를 종전 0.25%포인트 내린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환율 변동성이 둔화되면서 경기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졌기 때문으로 평가했다. 추가 인하 시점은 5월 또는 3분기로 예상했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환율 안정으로 인해 경기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졌다"며 "현재 계엄사태 여파가 진행 중이지
"기준금리 내렸는데, 내 대출금리는?"…대출차주 숨통 트일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인하하면서 이제 '2%대 기준금리'에 돌입하게 됐다. 지난해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체감효과가 크지 않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이번 추가 금리인하로 가계대출 차주들의 이자부담이 줄어들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 26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한은, 올해 1.5% 성장 예고…추가 금리 인하 시점은
한국은행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하향 조정하고, 기준금리를 28개월 만에 2%대로 낮춰 한국 경제 구하기에 나섰다. 정국 불안에 따른 내수 위축에 트럼프 관세 폭탄 예고 등 우리 경제를 지탱하던 수출 타격이 심상치 않다는 이유에서다. 전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가 연내 1~2차례 추가 금리 인하까지 시사하면서 추가 금리 인하
봄 이사철 앞둔 주택시장…금리 인하로 수요 늘어날까
서울 부동산 시장이 봄 이사철과 새 학기를 앞두고 다시 꿈틀대고 있다. 대출규제 강화로 위축됐던 매수 심리가 조금씩 되살아나고 있는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강남 지역과 한강변 등 주요 단지에서는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효과로 대출금리도 하향 안정화되면 매매 여건이 개선되면서 거래량이 늘고, 가격
"이미 3%대 실종인데"…예금금리 더 떨어진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75%로 인하하면서 은행권 예·적금금리가 추가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미 2%대 예금금리가 대세인 상황에서 한 푼이라도 더 높은 이자를 받으려는 '금융 노마드'의 발걸음도 바빠지게 됐다. 금리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주는 '금융권 특판 상품'에 수요가 몰리는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