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서울 0℃
정원의 섬, 제주
[정원의 섬, 제주]①제주 정원의 역사(上)
정원(庭園·garden), 전국 곳곳에 붐을 일으키면서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개성 넘치는 민간정원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가운데 광역·기초자치단체에서는 정원을 조성하고, 관련 행사를 앞 다퉈 개최하며 주도권 경쟁이 한창이다. 정원은 '집안의 뜰이나 꽃밭'이라는 사전적 의미에서 공원, 도시 숲 등을 포함해 인위적으로 식물을 기르는 장소라는 포괄적인 용어
[정원의 섬, 제주]②제주 정원의 역사(中)
조선시대 대표적인 과수정원인 감귤과원은 고종31년(1893년) 진상제도가 폐지되면서 급격한 변화를 맞는다. 진상이 사라지자 감귤과원은 황폐화의 길로 접어들었다. 감귤을 생산하느라 겪어야했던 고충에서 벗어났고, 감귤을 생산하더라도 직접적인 소득과 연결되지 않으면서 민가에서 감귤을 재배할 이유가 없었다. 민가 주변에 병귤, 당유자, 진귤, 청귤, 동
[정원의 섬, 제주]③제주 정원의 역사(下)
해방이후 제주는 4·3사건, 한국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이면서 혼돈의 시기를 맞았다. 제주4·3평화재단 자료에 따르면 제주4·3으로 인해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과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2만5000∼3만명의 인명 피해를 가져왔다. 가옥 4만여채가 소실되었으며, 중산간 지역 마을이 폐허로 변했다. 학교·면사무소 등 공공기관 건물이 불탔으며 각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