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3D 시뮬레이터로 고난이도 고속상륙정 조종 훈련한다
방위사업청, 고속상륙정(LSF-II) 시뮬레이터 해군 인도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해군 고속상륙정(LSF-Ⅱ) 5·6호정인 '솔개-636·637정'의 진수식이 17일 오후 부산 영도구 HJ중공업에서 열리고 있다. 길이 28m, 폭 14m, 높이 8m인 솔개(100t급)는 공기부양 방식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해상은 물론 저수심이나 갯벌 지역에서도 고속기동이 가능하다. 솔개-636·637정은 시운전 평가 기간을 거쳐 2025년 중 전력화 과정을 마치고 실전에 배치될 전망이다. 2023.05.17. yulnet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3/05/17/NISI20230517_0019889904_web.jpg?rnd=20230517154839)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해군 고속상륙정(LSF-Ⅱ) 5·6호정인 '솔개-636·637정'의 진수식이 17일 오후 부산 영도구 HJ중공업에서 열리고 있다. 길이 28m, 폭 14m, 높이 8m인 솔개(100t급)는 공기부양 방식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해상은 물론 저수심이나 갯벌 지역에서도 고속기동이 가능하다. 솔개-636·637정은 시운전 평가 기간을 거쳐 2025년 중 전력화 과정을 마치고 실전에 배치될 전망이다. 2023.05.1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옥승욱 기자 = 방위사업청은 5일 고속상륙정(LSF-II) 시뮬레이터(모의입체조종훈련장비)를 해군에 인계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해군에 인계한 시뮬레이터는 지난 4년여간 체계개발과 군의 시험평가를 거쳐 개발된 첨단 3차원 시뮬레이터이다. 향후 운용요원이 고속상륙정 조종술을 더 용이하게 숙달할 수 있어 실제 상륙작전 성공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속상륙정은 상륙기동헬기와 함께 해군과 해병대 등 우리 군이 입체 기동 상륙작전을 펼치는 데 있어 핵심 전력이다. 지난 2023년 3, 4호정이 해군에 인도됐다. 현재는 2026년까지 총 8척을 해군에 인도할 수 있도록 함정 건조와 시운전이 진행되고 있다.
이번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는 실제 조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악천후와 야간 상황 등 다양한 해상 및 기상 조건에서 함정의 모든 기동을 매우 정밀하게 모의 구현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특히 모함인 독도함과 마라도함에서의 입·출거뿐만 아니라 원거리 초고속 상륙작전, 긴급 회피기동 등 실전과 같은 훈련도 가능하다.
방사청 신현승 함정사업부장(해군 준장)은 "이번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를 군에 인도해 조종사를 효율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물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실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훈련 환경을 갖추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