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원이 매년 달라져? 이건 좀 아니다"…의대 오락가락에 학생·학부모 혼돈

등록 2025.03.10 13:03:05수정 2025.03.10 23:2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교육부, '3월 내 복학' 조건 올해 의대 모집 3058명 동결

"25학번만 혜택, 26학번은 손해" vs "25학번도 힘든 입시"

지역인재전형 노리고 농어촌 전학간 학생들·학부모 혼돈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정부가 2026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기존 3058명으로 동결하기로 하고 의대생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사진은 9일 오후 서울 한 의과대학. 2025.03.09. kmn@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정부가 2026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기존 3058명으로 동결하기로 하고 의대생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사진은 9일 오후 서울 한 의과대학. 2025.03.0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고가혜 기자 = 정부가 의대생들의 '3월 내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기존 3058명으로 동결하기로 공식 발표하면서, 올해 의대 입학을 노리던 수험생·학부모들은 혼란에 빠진 분위기다.

특히 지역인재전형을 노리고 농어촌으로 전학까지 간 초등·중학생들과, 재수·삼수를 결정한 N수생들, 올해 고등학교 3학년 현역으로 2026학번 입시를 노리는 2007년생 학부모들 사이에서 불만이 커지고 있다.

10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7일 브리핑을 열고 의대생들이 3월 말까지 학교로 돌아온다는 전제 하에 2026년도 의대 모집정원을 당초 계획인 5058명에서 기존 3058명으로 다시 되돌리겠다고 밝혔다. 의대생들이 이달 안에 복학하는지 여부에 따라 내년 의대 모집인원이 2000명 가까이 널뛸 수 있는 것이다.

이에 4월 전까지 의대 정원이 확정되지도 않은 채 입시를 준비해야 하는 올해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과 N수생들, 그리고 학부모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이미 2025학년도 의대 모집정원이 전년 대비 1509명 늘면서 한 차례 혼란을 겪었는데, 이번에는 다시 감원 가능성이 높아지자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일부 학부모들 사이에선 2025학번만 혜택을 보고 2026학번은 오히려 불리해졌다며 서로 논쟁을 벌이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2007년생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대학 최상위 2000명이 갈 곳이 없어지는 게 입시에서 얼마나 큰 일인지 아느냐, 2006년생(2025학번 현역)만 혜택을 보고 2007년생(2026학번)부터 되돌아가는 게 말이 되냐"며 "황금돼지띠인 2007년생은 현역 숫자도 많고, N수도 쏟아지고, 삼수하면 교육과정도 바뀌는데 너무한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이에 또 다른 학부모는 "2025학번도 모든 의대생이 휴학한 상태에서 1500여명을 증원 발표하는 바람에 휴학한 의대생들도 다시 응시하고, 재수·삼수·직장인들까 지 너도나도 도전해서 엄청 힘든 입시였다"며 "오락가락 정책을 펼치는 정부가 문제지 학생들은 모두 피해자인데 이 안에서 서로 싸우지 말자"고 중재하기도 했다.

실제 올해 고3이 되는 2007년생은 황금돼지띠로 인구가 전년 대비 10% 가량 늘어나 45만3000명에 달한다. 올해 N수생도 2001년 이후 역대 최대치가 예상된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올해 N수생은 전년 대비 10% 이상 늘어난 최대 20만2762명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지방 의대들의 지역인재전형 확대를 기대하고 초등·중학생 때부터 지방으로 전학을 가며 입시를 준비하던 학생들과 학부모 역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실제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충남에선 초등학생 466명이 순유입됐다. 전년도엔 400명 가까운 인원이 순유출됐던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변화다.

지방 의대에서도 이에 따라 지역인재 모집인원을 속속 늘려왔으나 정부의 이번 결정으로 의대생 모집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대표적인 비수도권 대학 중 한 곳인 충북대는 2024년 49명에서 151명 증원해 2026년 200명을 선발할 계획이었고, 경상국립대도 76명에서 124명 늘린 200명 모집 예정이었다.

입시생과 학부모들은 정원이 의정갈등에 따라 매년 바뀌는 현 상황 자체가 문제라며 정부의 오락가락한 정책을 지적하고 있었다.

2007년생 학부모를 둔 또 다른 학부모는 "이건 좀 아닌 것 같다. 3058명이든 5058명이든 정원을 제대로 확정을 해야 고1 때부터 진로를 정해 생기부를 쓸텐데 매년 정원이 달라지면 이게 뭔가 싶다"며 "현재 휴학한 학생들한테도 이들이 돌아올 만한 제안을 해서 돌아오게 해야지 이러다 (더블링을 넘어) 트리플이 되면 더 큰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지적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지역인재전형 등을 노리던 지방권역에 있는 학생들이 가장 혼란이고 불이익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입시에서 의대로 빠지는 학생이 대거 발생하면서 연쇄이동이 발생한 만큼 수험생 전반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